반응형

일상 451

영어 성적 전교 1등 하루 15분

영어 성적 올리는 방법에 대해 쓰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증명부터 해야되지 않겠나. 실력이 있는지. 고등학교 시절 이유는 모르겠지만 영어에 대한 집착이 상당했다. 당시 19세의 나이로 가지고 있던 사고의 수준에서는 그 집착을 벗어던지기가 어려웠다. 영어성적은 항상 교내에서 최상위 수준이었는데 한 학생이 전학을 오면서 생겼던 일을 적어본다. 시험이 끝나면 각 반에 있는 학생들 중 해당 과목을 가장 잘하는 학생 주변으로 학생들이 몰려들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짧은 쉬는 시간에 다음 과목 한글자라도 더 봤어야했는데. 하하하. 당연히 영어 시험이 끝나면 친구들은 내 주변으로 몰려들었다. 그 전학생이 오기 전까진 그랬다. 학기 중이었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전학생은 타학교에서 온 친구가 아니었다. 외국에서 유..

일상/육성 2023.11.10

Intuitive approach of the three major exercises - 1. Back exercises (deadlift, row, pull-up)

What do you want people to look at you from behind when you take off your top at the beach in the summer? How about developing the back muscles, one of the three largest muscles that make up the body, and increasing the overall muscle mass of the body to have a healthy, strong, balanced and stable body? What do you think of the idea that having a great back is an important weapon that makes you ..

3대 운동의 직관적 이해 - 1. 등 운동(데드리프트, 로우, 풀업)

여름에 바닷가에서 상의를 탈의했을 때 뒤에서 날 바라보는 시선이 어떠길 바라는가? 신체를 구성하는 가장 큰 세 가지 근육 중 하나인 등 근육을 발달시켜 몸의 전체적인 근육량을 늘려 균형감있고 안정감있는 건강하고 강한 몸을 가지는건 어떤가? 멋진 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내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사람에게 고평가를 받도록 만들어주는 중요한 무기이며, 신체의 안정성과 균형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생각은 어떤가? 좌우로 넓고 앞뒤로 굵직한 등을 가진 남성은 매력적인가? 이제 관심은 좀 생겼나? 등 근육의 역할은 무언가를 몸 쪽으로 당겨오는 것이다. 이에 관련된 운동 방법들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직관을 이용해 등 근육의 움직임을 그려보고, 그 중 가장 효과적일 수 밖에 없는 운동을 살펴보자. 잠시 눈을 돌려 다..

운동의 시작

운동이 건강에 좋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있다. 왜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 설명해보라고 하면 누구나가 이에 다음과 같이 대답할 것이다. "운동을 하면 근육이 커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해진다."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상승한다." "몸의 균형이 좋아진다." "심장이 튼튼해진다." "자존감이 높아진다." "정신력이 강해진다." "매력적이게 된다." . . . 물론 올바른 영양섭취와 숙면은 기본이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러한 이유들 보다는 성취의 측면에서 이를 바라보기를 권한다. 특히 자기통제력 상승이 그것이다. 운동이 습관화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 우선 운동은 일상생활에서의 움직임 이외의 행동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게 별 것 아닌 말 처럼 들릴 수 있지만 생각해보면 운동은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하지 ..

육성에 대하여

육성에 대하여 ​ 내가 숨쉬는 하루하루가 모여 인생을 이룬다. 인생의 즐거움들은 짧은듯 느껴지고 고통은 너무나도 가혹하고 길게 느껴진다. 허나 이것이 인생이고 인생은 이래야만 한다. 삶에는 즐거운 시간들 뿐만 아니라 고통스러운 시간들 또한 있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잘못되었다고 믿어선 안된다. 인생은 작은 즐거움과 큰 고통의 연속이다. 견뎌내야한다. 이러한 인생이, 고통을 견디는 삶이, 생명이 곧 나라는 존재이고 이것이 사랑을 알게한다. 그러니 사랑의 근본에는 생명이 존재한다. 사랑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어는 생명이다. ​ 생명의 탄생은 그 자체로 고귀하다. ​ 그러니 내가 선대에게 받은 삶을 후대에 전달하는 것, 생명을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것은 가장 고귀한 의무이다. ​ 생명을 전달하고 난 후,..

일상/육성 2023.11.07

통제에 대하여

통제에 대하여 ​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은 압도적인 강자이다. ​ 통제의 사전적 의미는 목적에 따른 행위의 제한이다. ​ 인생에 있어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 많은 사람일수록 자신이 원하는 삶을 누릴수 있을 확률이 높다. ​ 결국 통제력을 기를수록 성공한 사람이 되는 것인데, 성공한 사람의 기준은 본인이 정하길 바란다. ​ 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쉽게 무언가에 중독되고 인생을 낭비하며 나태하고 타인이 정한 기준만을 신경쓰고 기껏해야 남들 사는 뒷꽁무니 쫒아다니는 그런 삶에서 인생을 마무리짓는다. 그러고 싶은가? ​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유일하고도 가치있는 자산은 시간이다. 오직 시간만이 인간이라는 틀 안에 주어진 유일무이한 가치있는 자산이다. 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이런 귀중한 자산을 낭비하게..

목표에 대하여

목표에 대하여 ​ 목표가 있는 삶만이 유의미하다. ​ 목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어야한다. ​ 타인에 의한 강압으로 정해진 것이어서는 안된다. ​ 우선 목표를 두 단계로 구분하겠다. 대략 사춘기 이전의 목표와 이후의 목표이다. 사춘기 이전의 목표는 육체의 건강한 성장이고 사춘기 이후의 목표는 개인의 성장이라 하겠다. ​ 우선 생물학적 발달단계에 의한 목표 성취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본다. ​ 인간이 성장해가면서 생물학적으로 몸에 새겨지는 목표가 있다. ​ 육체적 발달의 한 단계가 온전한 성취를 이루면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을 생물학적 발달단계에 의한 목표라고 하겠다. ​ 아동이 성장해가면서 추상적 사고능력을 얻게되는 것과 사춘기를 지나면서 여러가지 성징을 보이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시..

하루에 대하여

2023년 10월 3일 새벽 00시 56분. 처음으로 이 글을 쓰기 시작한다. 이 글은 1989년에 태어난 내가 30대 중반이 되어 도달한 수준에 대한 기록물이자 메세지이다. 내가 도달한 수준을 기록해 두고 이것을 다음대에 넘겨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의 다음 세대가 내 글을 읽고 자신들이 목표로 하는 수준에 도달하는 시간을 가속화하기 위한 발판이 되고자 한다. 내 목적이 이루어지면 아마도 사춘기 즈음의 인간이 이 글을 읽고서는 ‘그럴듯하네.’ 혹은 ‘이렇게 정리해두니 편하네.’ 정도의 생각이 떠오른다면 나의 역할은 다한 것 같다. 아무래도 내가 쓰게 될 글이라 ‘이건 뭐 다 아는 걸 써 놨네.’ 까지 도달하는 것을 바라면서도 바라지 않는다. 나도 아직 사람인가보다. 하루에 대하여 우선은 하루를 사는 ..

1화 씻고 나와 방문을 열었다.

씻고 나와 방문을 열었다. 컴퓨터 앞에 앉아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컴패니언 챌린지 시즌2의 예약 접수를 도와주는 문구가 보였는데 역시나 사람들은 시즌2 접수하느라 난리인가보다. 벌써 대기가 만명가까이 되네. 상단에 시즌1 접수버튼을 누르는 사이 뒤에서 와이프가 들어오는 소리가 들린다. ​ "이거 진짜 접수해도 되는거야? 정말 괜찮아?" ​ 가격이 가격인지라 너무 미안하네. ​ "결혼하고 같이 살면서 나랑 유빈이한테만 돈쓰고 정작 오빠는 전혀 안썼잖아. 괜찮아!" ​ 딸을 안고 서있는 모습이 딱 내가 바라던 그런 모습이다. 저 모습을 보고 있으면 정말 다 괜찮은 것만 같다. ​ "고마워. 그럼 진짜 접수한다?!" ​ 접수를 진행하자 결제창이 떠올랐다. 한 번 신청하는데 300만원이라니... 누가 설계했는지..

미디어 중독 대처법 (티비중독, 스마트폰중독, 게임중독)

육성 대상자가 무언가에 집착하는 것은 육대자(육성 대상자)의 잘못이라거나 장애가 아니다. ​ 육대자의 기준을 성인 이하로 두고 성인이 시작되는 기준을 연령으로 25세로 두었을 때, 육대자의 집착은 자극과 흥미의 연장선에 있을 뿐이다. 육대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가장 흥미로운 자극을 추구할 뿐이기에 이를 성인의 기준에서 잘못된 것, 옳지 못한 것, 장애 등으로 규정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흔히 말하는 미성년자라는 표현은 단순히 법적 보호가 필요한 대상이라는 의미에 국한되어서는 안되고, 성장과 변화의 가능성이 충분한 사람이라는 의미까지 확장되어야한다. 60대의 사고방식을 교정하려 하는 것과 10대의 사고방식을 교정하려 하는것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위의 내용을 항상 염두에 두고 가능성을 제시하는..

일상/육성 2023.11.07
반응형